KCI 우수
국어 ‘나무[木]’의 고어형 연구 -고어·지역어의 형태 대조를 중심으로-
On the origin of Korean namwu ‘tree’ -Focusing on morphological comparisons of historical and dialectal forms-
문준모 ( Moon Junmo )
국어학회 2025
국어학(國語學) 114권  389-425(37pages)
DOI 10.15811/jkl.2025..114.013

본고는 고어 및 지역어의 형태 대조를 중심으로 하여 국어 ‘나무[木]’의 고어형을 탐구하였다. ‘나무’는 핵심 어휘임에도 불구하고 정음 창제 이전의 문헌에서 거의 나타나지 않는바 12세기 ≪계림유사≫와 15세기 ≪조선관역어≫에 문증된 것이 유이하다. 본고는 이러한 어형에 대하여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해독을 다시 살피고, 이를 방언 및 지명 자료에 기대어 기워 보였다. ‘나무’는 또한 역사적 ‘ㄱ’곡용 체언의 하나로서, 그 발생 원리는 지속적 논의의 대상이 되어 왔다. 본고는 이제까지 통용되어 온 재구의 한계점을 고찰하고, 보다 통상적인 음운 변동에 의거하여 수정된 가설을 제시하였다. 끝으로 ‘나무’의 最古形에 대하여 이전에 제시된 적 없는 새로운 재구를 제안하였는바, 이를 국어 ‘그루[株]’와 연관 짓는 한편 일본어계 차용의 가능성도 짚어 보았다.

This paper explores the etymology of Korean namwu ‘tree’ based primarily on morphological comparisons of historical and dialectal forms. Despite being a core lexeme, pre-Hangul forms of namwu are only sparsely attested in the 12th-century Jīlín lèishì and 15th-century Cháoxiǎn guǎnyìyǔ. This paper revisits and revises reconstructions of these forms proposed by previous studies, relying on dialectal and toponymic data. Further, namwu is a historical /k/-declension noun, the mechanism behind which has been a subject of continued debate. This paper reflects on the shortcomings of current scholarly consensus and provides a modified explanation through a series of simple sound changes. Finally, this paper suggests a new reconstruction for the ancestral form of namwu, relating it to Korean kulwu ‘stump’ and noting the possibility of Japonic loanage.

1. 서론
2. ≪계림유사≫의 해독
3. ‘나무’의 선대형 검토
4. ‘나무’의 방언형 대조
5. ‘*남그’의 합성어 설
6. 결론
참고문헌